소장자료 정보 상세 : 소장자료 정보 상세를 보여줍니다.
<빨간마후라> 전단
자료형태 전단/홍보물 시대/연도 1960년대 / 1964년
규격 17.8x12.5
한줄설명 신상옥 감독의 1964년 흥행 1위 전쟁영화이자 공중전을 촬영한 한국 최초 영화
자료 복사 자료열람/복제 신청

<빨간마후라>는 원작자인 한운사가 공군의 청탁을 받아서, 1964년 개봉한 신상옥 감독의 영화로, 신영균·최무룡·최은희·윤인자 등이 주연배우로 등장한다. 한국전쟁 당시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을 각색하였으며, 강릉 비행장을 배경으로 공군 조종사들의 군인정신과 청춘 남녀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소장한 <빨간마후라> 홍보 전단은, 앞면에는 주연배우들과 한국전쟁에서 활약한 F-86 제트 전투기 사진이 있으며, 뒷면에는 아시아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감독상·편집상을 수상한 우수작임을 홍보하고 있다.

 

<빨간마후라>는 당시 한국영화 평균 제작비인 500만원을 훨씬 웃도는 1천2백만원의 제작비가 소요되었고, 전투기 조종석 자리에서 공중 장면을 촬영하여 전투기의 움직임을 생생하게 포착하는 등 전투기들의 비행을 역동적으로 담아내었다. 이처럼 대규모의 공군 장비와 공군 동원을 후원 받은 <빨간마후라>는, 두 명의 공군 장교와 한 여성의 로맨스를 담은 시나리오 때문에 공군 본부에서 협조를 거부당하기도 했는데, "급박한 전쟁 상황일지라도 조종사들 역시 희로애락을 느끼며 살아간다. 인간으로서의 그들의 모습을 왜 외면하려 드는가?" 라는 반박에 의해 통과되었다고 한다. 언론의 평가도 다양하다. “이야기는 한마디로 멜로드라마형의 찡하고 달콤하고 또 통속적인 각종 양념을 깃들인 전쟁 애정극”(조선일보 1964.4.7), “이 작품은 멜로드라마에 불과하지만”(동아일보 1964.4.10)과 같은 아쉬운 평가도 있고, “넓은 하늘에 펼쳐지는 스피디한 드릴과 흥분, 그리고 순간이 모든 것을 결정짓는 하늘의 드라마”(경향신문 1964.2.4), “본격적인 항공영화”(서울신문 1964.4.4.)와 같이 영화적 성과를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영화에서는 F-86 전투기를 타고 작전에 임하는 남한 공군 조종사들의 활약을 묘사하여 한국전쟁을 근대화된 공군의 모습과 결부시키지만, 실제로 공군은 1949년 10월 1일 창설되어 미군으로부터 L-4 연락기 10대를 인수하였을 뿐이며, 단독 작전 수행 능력이 없었다. 한국전쟁을 거치며 소련의 미그15에 맞서기 위해 F-51에서 F-86 전투기로 기종을 변경한 미군이 남한 공군에게 공여한 F-51전투기를 운용하며 1952년에는 단독 출격이 이뤄지기도 하였지만, F-86 전투기는 미군만이 운용했다. 이처럼, 공군이 F-86 전투기를 조종하며 활약하는 영화의 설정은 사실과는 다르지만, 영화가 제작된 1960년대의 한국 공군의 F-86 운용상황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지금 너희들에게 나눠준 것은 우리 조종사의 자랑이요 불같은 애국심과 피처럼 붉고 맑은 양심을 상징한다. 이것을 목에 두르고 다닐 때 주의할 점을 몇 가지 말해두겠다. 항상 비겁하지 말 것! 이것은 전투할 때나 연애할 때나 마찬가지다 ··· 그리고 언제 목숨을 던져도 뒤가 깨끗하도록 항상 신변을 정리하라. 전투 조종사가 되었다는 각오를 새롭게 하는 의미에서 유서를 다시 한 장씩 제출하라.”

 

다음은 <빨간마후라>에서 오프닝 내레이션 후 강릉기지 전대장이 강릉기지로 배속된 신참 조종사에게 ‘빨간머플러’를 나눠주며 하는 연설의 일부이다. 이 빨간머플러는 1951년 강릉기지의 전투비행단장이던 김영환 장군이 수색과 구조가 필요한 경우 눈에 잘 띄도록 처음 보급한 뒤로 대한민국 공군의 전투기 조종사를 상징하게 됐다고 한다.

 

개봉 당시 서울의 관객만 22만 5천여 명을 동원하며 흥행 1위를 기록하고, 대만과 동남아시아 등 여러 나라에 수출되는 등 선풍적인 인기를 휩쓸었던 <빨간마후라>는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공군 초창기의 역사와 영화가 개봉된 1960년대의 시대적 분위기까지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임달연, 한국항공우주사, 한국항공대학교출판부, 2001
신상옥, 난 영화였다,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연구: 1949∼1968 전쟁영화와의 접합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 박사논문, 2011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0991

 

이전 다음 게시물 : 제목 날짜를 보여줍니다.
▼ 다음글 프로 씨름 선수 사인 액자 2020-07-01
▲ 이전글 동양목 포장지 2020-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