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정보 상세 : 소장자료 정보 상세를 보여줍니다.
유엔 묘지 설치 기념 초일봉투
자료형태 우편 시대/연도 1960년대 / 1960
규격 16.4*9.1, 15.4*8.8
한줄설명
자료 복사 자료열람/복제 신청

  매년 111111시가 되면 국내 및 세계 여러 사람들이 부산을 향해 1분간 묵념을 한다. 그들의 묵념이 향하는 곳은 바로 부산 유엔(UN)기념공원이다.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이라는 이름의 행사가 2007년에 처음 제안되어서 정부 주관 행사로 격상된 이후 2020년에는 정부가 법정기념일로 1111일을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로 지정했으며 매년 국가적 추모 행사가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이달에 소개하고자 하는 소장품은 부산 유엔기념공원의 역사를 되짚어 볼 수 있는 자료로서 1960111일 체신부에서 발행한 유엔 묘지 설치 기념 초일봉투’(4392)이다. 이는 기념우표가 부착된 초일봉투와 우표 안내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표의 상단에는 유엔마크와 가격 40환이 있고, 하단에는 여러 묘비 디자인이 그려져 있다. 우표가 부착되어 있는 봉투의 뒷면에는 ‘FIRST DAY OF ISSUE NOV.1 1960’이라고 적혀 있어 이것이 1960111일 우표 발행일에 같이 제작된 초일봉투임을 알 수 있다.

  봉투 안에는 우표 안내문이 들어있는데 반으로 접는 형태의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면에는 우표에 대한 정보가 한국어와 영어로 인쇄되어 있다. 우표 인쇄 색깔은 향(), 다색으로 적혀 있는데 이는 곧 짙은 주황색 계열을 말한다. 판식은 평판(옵셋트)’인데 이는 옵셋 인쇄(offset printing)’ 형식으로서 컬러 편집물을 제작할 때 4가지 색을 조합하여 인쇄하는 방식을 말한다. 우표 크기는 가로 25mm, 세로 37mm이며 천공(우표를 쉽게 떼어내기 위해 일렬로 뚫어놓은 구멍, 20mm 단위 당 개수)13½개로 구성되어 있다. 용지는 회백색 우정마크투문지이며, 시트의 구성은 가로 10, 세로 5매의 50면으로 적혀 있다. 이는 우표 50매로 이뤄진 한 개 시트를 체신부 우정 마크가 투문된 회백색 용지에 인쇄했다는 뜻이다. 투문(water mark)은 우표 제조과정에서 위조방지를 위해 무늬를 넣어 특수용지에 인쇄한 것을 말한다. 현재는 이 우표 시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원화작자는 최문영, 도안자는 강박 씨가 했으며 인쇄는 한국조폐공사, 발행수량은 500,000매였다. 그리고 ‘40환짜리 소형시트 70,000가 적힌 것으로 보아 50매 우표 시트 외에 소형 시트가 있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안내문 뒷면에는 유엔 묘지의 전경이 그려져 있다. 이 당시는 아직 정문, 추모관 및 기념관 등의 건조물들이 세워지기 전이다. 그리고 여러 수목으로 가득 채워져 공원화를 이룬 지금의 유엔기념공원과는 조금은 다른 초기의 유엔 묘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우표와 봉투에 그려진 묘비 디자인을 살펴보면 지금은 확인할 수 없는 당시 묘역의 모습을 담고 있다. 구와바라 시세이(桑原史成) 씨가 박물관에 기증한 1964‘6·25전쟁에서 전사한 UN군 묘지’(1038) 사진에 묘지를 살피고 있는 여인들의 모습이 찍혀있는데 십자가, , 달 모양(튀르키예 군 상징) 등의 표식들이 묘지에 줄지어 세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이 기념우표는 당시 유엔 묘지의 모습을 디자인화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표식은 이곳이 공동묘지라는 인식을 각인시켜 주는데 이후 이곳은 공원화 과정을 거치며 이러한 표식을 제거하고 각각 꽃나무를 심어서 묘지로서의 중압감보다 추모로서의 의미가 더 와 닿게끔 변화하였다.

  부산 유엔기념공원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유엔군 묘역이 조성된 곳이다. 이곳은 19511,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하기 시작했고, 같은 해 4월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에 가매장되었던 유엔군의 유해를 이곳에 안장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국회는 유엔군의 희생을 기리고자 이 부지를 유엔에 영구히 기증했으며 195911월에는 유엔과 대한민국 간에 재한 국제연합 기념묘지 설치 및 유지를 위한 유엔과 대한민국간의 협정이 체결됨으로써 본격적으로 기념 공간의 형성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196011, 협정 1주년 시점에 이러한 기념우표가 제작된 것이다.

  한국전쟁 발발로 유엔은 16개국의 전투지원과 6개국의 의료지원을 파병했다. 이 과정에서 전쟁 기간 동안 40,896명의 유엔군 희생자가 발생했다. 유엔기념공원에는 약 11,000여 명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었으나 그동안 본국 이장 등의 과정을 거쳐 현재는 11개국의 2,315구의 시신이 잠들어 있다. 올해 1111일은 부산 유엔기념공원을 방문해보거나 또는 부산을 향해 11시에 1분간 묵념의 시간을 가져보아도 좋을 것 같다.

 



유엔기념공원 UNMCK

https://www.unmck.or.kr/kor/main/

국가기록원-한국과 유엔

https://theme.archives.go.kr/next/unKorea/viewMain.do

 


이전 다음 게시물 : 제목 날짜를 보여줍니다.
▼ 다음글 『새벗』 1952년 12월호 2022-12-01
▲ 이전글 입체경, 입체사진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