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의거 115주년 기념 학술대회 개최 |
오노 모리에 회고록 전문 국내 첫 공개, 안중근 의사 연구 새롭게 조명 |
대한민국역사박물관(관장 한수)은 오는 11월 22일(금) 오전 10시, 박물관 6층 강의실에서 하얼빈 의거 115주년을 기념하는 「자료로 보는 안중근」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안중근의사기념관과 일본 류코쿠대학 안중근동양평화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진행되며,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하고 그의 사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오노 모리에(안중근 체포 당시 첫 심문자)의 회고록 전문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이 회고록은 하얼빈 의거 직후인 1909년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기록 공백으로 남아 있던 기간을 메울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이를 통해 안중근 의사의 체포 직후 상황과 심문 과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대회는 두 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에서는 기조강연과 더불어 현재 전시 중인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특별전 <안중근 書> 전시기획이 소개된다. 기조강연에서는 하얼빈 의거를 국제적 맥락에서 재조명하며, 안중근 의사의 동양평화론이 현대 동아시아 평화 담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이어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전시 중인 <안중근 書> 특별전 기획이 소개된다. 이 전시는 안중근 의사의 필적과 서예 작품을 통해 그의 신념과 정신을 탐구하고자 기획되었다.
2부에서는 안중근 의사와 관련된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학자들이 참여하여 총 4건의 연구 성과와 새로운 자료를 발표한다.
● 이주화(안중근의사기념관)는 오노 모리에 회고록과 새롭게 발견된 안중근의 유묵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과 활동을 분석하며, 안중근의 의거가 단순 항일 투쟁이 아닌 동양 평화의 일환임을 강조한다.
● 오쿠노 츠네히사(류코쿠대학)는 류코쿠대학이 소장한 안중근 유묵을 통해 그의 사상적 메시지와 역사적 맥락을 해석하고, 이를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사례를 공유한다.
● 김월배(하얼빈이공대학)는 안중근 유해와 유적지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며, 안중근 유해 발굴의 역사적 논쟁과 과제를 논의하고, 새로운 연구 영역인 ‘안중근학(安重根學)’을 제안한다.
● 최덕규(고려대학교)는 러시아 문서를 활용해 안중근 의거를 세계사적 관점에서 접근하며, 안중근 의거가 단순한 한일 갈등을 넘어 세계사적 의미를 지닌 사건임을 설명한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안중근 의사를 둘러싼 국내외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그의 의거와 사상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다각도로 분석할 계획이다. 한수 관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안중근 의사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며, 후속 연구와 대중적 관심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학술대회 일정표 1부
2. 학술대회 포스터 1부. 끝.